1. 기하평균
평균을 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술평균은 여러 가지 방법 중에 하나로 오늘은 기하평균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두 개의 값의 기하평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처음 기하평균을 보면 무슨 의미인지 잘 다가오지 않아 헷갈릴 수 있다.
기하평균의 의미는 "같은 수를 두 번 곱한값이 x와 y를 곱한 값과 같도록 하는 수"이다.
기하평균은 성장률을 구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해마다 증가하는 증가량의 평균을 구하면 평균적으로 어느정도 성장했는지를 알 수 있다.
값의 개수가 n개라면 위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값의 개수로 나눠주는 산술평균과 값의 개수로 제곱근을 취해주는 기하평균은 개념이 동일하다.
2. 예제
기업의 성장률이 첫해 20%, 다음 해 -10%, 그 다음 해 30% 변화되었다고 할 때 기업의 평균 성장률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평균 성장률은 10%로, 10%씩 3년 동안 성장한 것과 결과가 같다.
from functools import reduce
def multiply(arr):
return reduce(lambda x, y: x * y, arr)
growth_rate = [1.2, 0.9, 1.3]
growth = multiply(growth_rate)
average_growth = growth ** (1 / 3)
print(growth)
print(average_growth ** 3)
'Data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분포를 왜 표준화하는걸까? (0) | 2022.06.07 |
---|---|
통계적 추론, 추정의 의미? (0) | 2022.06.07 |
[Pandas] Series (0) | 2021.12.30 |
단순선형회귀 (Linear Regression) (0) | 2020.10.04 |
체르노프 부등식(Chernoff Inequality) (0)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