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IP Model
OSI 7 Layer 모델처럼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개념적으로 모델링한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OSI 7 Layer 모델과 비교해 많이 설명되는데, TCP/IP 모델은 1970년대에 개발되었고, OSI 7 Layer는 1984년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두 모델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응용계층, 표현계층, 전송계층의 역할을 Application Layer(응용계층)이 수행하고
데이터링크계층, 물리계층의 역할을 Network Interface Layer(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 수행합니다.
2. 각 계층별 설명
① Network Interface Layer(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OSI 7 Layer의 데이터링크층과 물리계층이 해당합니다.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랜선, 허브 등과 같은 물리적인 하드웨어(Physical Layer)와 연결을 관리하는 브릿지, 스위치와 같은 하드웨어(DataLink Layer)를 포함합니다.
에러 검출 및 상위 층에서 받은 데이터(패킷)을 프레임화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접근 방법, 프레임 포맷, 통신 매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Ethernet(IEEE 802.3), WI-FI(IEEE 802.11), Bluetooth(IEEE 802.15.1) 등이 여기 포함됩니다.
② Internet Layer(인터넷 계층)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논리적인 주소인 IP를 이용해 노드간 패킷 전송과 전송경로 설정(라우팅) 기능을 수행합니다. 한 쪽 사용자(송신측)로부터 다른 쪽 사용자(최종 수신측)까지 연결이 되도록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IP, ICMP 등이 여기 포함됩니다.
③Transport Layer(전송 계층)
OSI 7 Layer의 전송계층에 해당합니다.
응용 프로그램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합니다. 인터넷 계층을 통해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포트 넘버에 맞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TCP, UDP 등의 프로토콜이 포함됩니다.
cf) 보통 TCP는 정확한 정보를 전송하고 UDP는 정확성이 떨어지는 대신 빠른 속도를 보장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UDP는 많이 사용되지 않고 많은 연구가 되지 않아 실제 속도는 연구와 최적화가 잘 된 TCP가 비슷하거나 더 빠르다고 합니다.
④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OSI 7 Layer의 응용계층, 표현계층, 세션계층이 해당합니다.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어플리케이션들 간 통신이 원활하도록 돕는 프로토콜들로 구현합니다.
HTTP, FTP, SMTP, DNS 등의 프로토콜들이 포함됩니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IP(Internet Protocol) (0) | 2022.10.29 |
---|---|
[Network] Client-Server 모델와 P2P(Peer-to-Peer) 모델 (0) | 2022.10.26 |
[Network] NAT, P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Port Address Translation) (0) | 2022.10.26 |
Cloud Computing (0) | 2022.10.13 |
[Network] OSI 7 layer Model (5) | 2022.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