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nn.skin 무료버전 배포중!
자세히보기

CS/Network 6

CS/Network
[Network] IP(Internet Protocol)

1. IP(Internet Protocol) IP는 Network Layer에서 송신자와 수신자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P는 패킷(데이터그램)을 여러 개의 덩어리로 나누어 전송하게 됩니다. IP는 패킷의 형식을 정의하고 주소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IP는 비신뢰성(unreliability)이다 비신뢰성은 전송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낸 정보가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패킷은 손상되거나 loss될 수 있고 순서가 바뀌거나 중복으로 전달될 수도 있습니다. 패킷 전송과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위 Layer에서 TCP와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해야 합니다. IP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ness..

CS/Network
[Network] Client-Server 모델와 P2P(Peer-to-Peer) 모델

1. Client-Server model client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end host라 하며 일반 사용자가 client에 해당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server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의미하며 Http 서버, Database 서버, 웹 서버, DNS 서버 등 client에게 데이터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client-server model은 정보 공유에 초점을 두고, 데이터 관리가 서버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이에 응답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여러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에 부하가 늘..

CS/Network
[Network] NAT, P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Port Address Translation)

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는 IPv4에서 부족한 IP 주소의 수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로컬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외부 네트워크 IP 주소에 매핑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NAT를 사용하면 하나의 IP 주소 내에서 여러개의 사설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외부에서 볼 때는 하나의 공인IP이지만 로컬네트워크에서는 각각의 host들이 사설 IP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설 IP 주소들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라우팅되지 않고 라우터를 거쳤다 라우팅되기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너무 많은 주소 변환이 일어나면 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집에 있는 컴퓨터에서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ip주..

CS/Network
Cloud Computing

아래는 NIST에 올라온 cloud computing에 대한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http://faculty.winthrop.edu/domanm/csci411/Handouts/NIST.pdf 글을 읽고 cloud computing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on-demand 네트워크 방식의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트워크나 서버, 스토리지, 서비스 등을 공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빠른 시간 안에 프로비저닝과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모델은 5가지 특성, 3가지 서비스 모델 그리고 4가지 구축 모델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 1) 사용자 필요에 따른 서비스 맞춤화 (on-..

CS/Network
[Network] TCP/IP Model

1. TCP/IP Model OSI 7 Layer 모델처럼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개념적으로 모델링한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OSI 7 Layer 모델과 비교해 많이 설명되는데, TCP/IP 모델은 1970년대에 개발되었고, OSI 7 Layer는 1984년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두 모델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응용계층, 표현계층, 전송계층의 역할을 Application Layer(응용계층)이 수행하고 데이터링크계층, 물리계층의 역할을 Network Interface Layer(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 수행합니다. 2. 각 계층별 설명 ① Network Interface Layer(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OSI 7 Layer의 데이터링크층과 물리계층이 해당합니다.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랜..

CS/Network
[Network] OSI 7 layer Model

1. OSI 7 layer OSI 7 layer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7개의 층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개념적인 모델입니다. 과거에는 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통신 규약)과 기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나 기기 간에는 통신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규격의 통일이 필요했는데, 이것이 OSI 7 Layer 모델입니다.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능에 따라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고 해당하는 층의 통신규격을 맞추면 서로 다른 기기간에도 통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각 층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층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프로토콜을 개발할 때도 해당하는 layer외에 다른 layer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개발에 용이하고 유지보수면에서..